
웹 애플리케이션의 설계 모델 설계 모델 : 프로그램을 역할에 따라 분류하여 제작하기 위한 모듈화 방법 설계 모델 종류 : Model1 , Model2 MVC 패턴 Model : 비즈니스 로직 처리 (햄버거집 : 주방, 주문된 햄버거 제작) View : 요청된 서비스의 응답 출력 담당 (햄버거집 : 라이더) Controller : 클라이언트의 요청 처리를 위한 데이터의 입력 처리, (햄버거집 : 카운터 점원, 주문 접수 및 햄버거 주문 주방에 넣기) Model & View 적절히 연결 Model1 데이터의 입력 및 결과 출력에 관한 기능 => JSP에서 구현,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와 같은 외부 데이터 처리 => 자바 빈 클래스 OR 비즈니스 로직 처리를 위한 서비스 클래스 사용 =>Model1 방식은 JS..

HTTP 프로토콜 1)서버 - 클라이언트 통신 시 stateless 방식으로 통신. (일회성 연결) 2)브라우저에서 새 웹 페이지를 열면 기존의 웹 페이지나 서블릿에 관한 어떤 연결도 알 수 없다. -이전 웹 페이지들이 수행한 작업을 다른 웹 페이지에서 알 수 없다. 3)웹 페이지간의 연결 기능이 필요하다. ->일회성 연결에 따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태그, 쿠키(Cookie), HttpSession 객체 Hidden Field -HTML 태그의 hidden 값으로 지정하는 숨김 필드를 사용하는 방식 login.htm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로그인 창 아이디: 비밀번호: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lo..

스캐너, 2차원 배열 활용한 학생 5명의 성적 출력 프로그램 구현하기 학생은 5명이다. 5명을 넘어가면 "더 이상 입력할 수 없습니다." 메세지 출력 학생 번호는 1~5번 사이이다. 과목은 국어, 영어, 수학 총 3과목이 있다. 1.입력 2.출력 3.종료 옵션이 있고 입력 전에 2번을 누르면 "아직 입력된 정보가 없습니다." 메세지 출력 구현 코드 1. 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상수 구현 2. 각각 필요한 배열 생성 3. [1. 입력 2. 출력 3. 종료] 전체 조건문 형식은 이렇게 된다.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if(userChoice ==1){ }else if(userChoice == 2){ }else if(user Choice == 3){ System.Ou..

서블릿 포워드 1. 서블릿 포워드 기능 -하나의 서블릿에서 다른 서블릿 혹은 JSP와 연동하는 방법 2. 포워드 기능의 용도 1)요청(request)에 대한 추가 작업을 다른 서블릿에게 수행하게 함. 2)요청(request)에 포함된 정보를 다른 서블릿 혹은 JSP와 공유함. 3)요청(request)에 정보를 포함시켜 다른 서블릿에 전달할 수 있음. 3. 서블릿 포워드 방법 1)redirect(리다이렉트)를 이용한 포워딩 -HttpServletResponse 객체의 sendRedirect( ) 메서드 이용. -웹 브라우저에 재요청하는 방식 -형식 : sendRedirect("포워드할 서블릿 or JSP"); -redirect는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한 HTTP 응답을 나타내는 response의 메소드 -이..

브랜치(branch) branch(브랜치)란 커밋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포인터라고 생각하면 된다. 맨 처음 commit하면 master 브랜치가 생기고 git branch 명령어를 사용해서 새로운 브랜치 생성이 가능하다. 위 그림에서 git checkout 명령어가 다른 브랜치로 이동을 뜻한다. git branch 이동해보기 지난번 포스팅에 이어 연습해보기!! 연습을 위해 깃허브에 또다른 디렉토리를 만들어준다. 1. 새로운 디렉토리를 git clone해주고 커밋에 필요한 Test.java 파일을 만든다. 2. 역시 커밋이 필요하기 때문에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git add Test. java -> git commit -> git remote -> git push 순서로 진행 3. 깃허브에서 확인해보기 ..

Git이란? git이란 네 글자로 줄여 DVCS, 세 글자로 줄여서 VCS라고 하고 Distributed Version Control System -> 분산되어 있는 버전을 소프트웨어로 관리하는 것. Github (깃허브)란? 분산 버전 컨트롤 소프트웨어 깃(git)을 기반으로 소스 코드를 호스팅, 협업 지원 기능들을 지원하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웹서비스이다. 최근 가장 인기있는 소스 코드 호스팅 서비스 및 소프트웨어 개발 플렛폼 깃의 돌아가는 구조?는 이러하다...학원 쌤이 이것만 이해해도 깃 65% 이해하는 거라고 하셨음...너무 어렵... git commit, push, pull, checkout ... working directory : 개발자 라고 이해하면 되고 이걸 핵심이 되는 local에 올리는..
DataSource 이용해 데이터베이스 연동 1) ConnectionPool 등장 배경 -애플리케이션에서 DB 연결 과정에 시간이 많이 걸림(기존 연동 방법 문제점) ==>미리 Connection 객체를 생성한 후 미리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맺음, 애플리케이션은 DB 연동 작업 발생시 이 Connection 객체를 이용해서 작업. 2)JNDI(Java Naming and Directory Interface) -필요한 자원을 키/값(key/value)쌍으로 저장한 후 필요할 때 키를 이용해 값을 얻는 방법. -커넥션 풀에 적용 -톰캣 컨테이너가 ConnectionPool 객체를 생성하면 이 객체에 대한 JNDI 이름(key)을 미리 설정해놓음. -그러면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DB와 연동 작업할 때 이 JNDI..

서블릿의 비즈니스 로직 처리 작업? 1)★서블릿의 가장 핵심 기능★ 2)서블릿이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으면 그 요청에 대해 수행하는 것. 3)대부분의 비즈니스 처리 작업은 데이터베이스 연동 관련 작업, 그외에 다른 서버와 연동해서 데이터를 얻는 작업도 수행. 1)웹 사이트 회원 가입 요청 처리 작업 2)웹 사이트 로그인 요청 처리 작업 3)쇼핑몰 상품 주문 처리 작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음 -> 데이터베이스 연동(비즈니스 로직 처리) -> 처리 결과 클라이언트에게 돌려줌 서블릿의 데이터베이스 연동하기 서블릿,DAO(Data Access Object), VO(Value Object),DB 0) 회원 테이블 t_member 생성, 회원 정보 추가 1)웹 브라우저가 서블릿에게 회원 정보 요청 2)Me..